Blockchain113 [Blockchain] 블록체인 트릴레마 해결 방법? 블록체인에서 가장 유명한 네트워크는 비트코인과 이더리움입니다. 하지만 사용자들이 증가함에 따라 한계점을 명확하게 보여주고 있습니다. 바로 확장성의 문제입니다. 사용자는 늘어나는데, 네트워크가 처리할 수 있는 성능은 제한적이라 네트워크 사용은 점점 비싸지게 됩니다. 블록체인 트릴레마는 확장성, 보안성, 탈중앙성 3가지 모두를 갖추기는 힘든 상황을 의미합니다. 대부분의 블록체인은 3가지 중 2가지 속성을 충족합니다. 비트코인과 이더리움은 보안성과 탈중앙화를 가진 대신 확장성을 희생한 사례입니다. 블록체인이 다양한 산업군에서 사용되기 위해서는 트릴레마 문제를 해결해야 합니다. 이에 대해 해결책으로 제시되는 방법이 레이어1(Layer-1), 레이어2(Layer-2) 입니다. 예를 들어 기존 도로(네트워크) 위에.. 2022. 6. 23. [Blockchain] 블록체인 트릴레마 3요소? 딜레마는 2가지 선택지 중 어떤 쪽도 바람직한 결과를 가져오지 못하는 상황을 일컫습니다. 트릴레마는 3가지 선택 중 어떤 선택을 하더라도 문제를 해결할 수 없는 상황을 말합니다. 블록체인 트릴레마는 탈중앙성, 확장성, 보안성 3가지 중 한가지는 무조건 희생되어야 하는 상황을 의미합니다. 탈중앙성이란? 탈중앙성(Decentralization)은 중앙집중화된 방식에서 진보된 네트워크 형태입니다. 네트워크 참여자들(노드)이 자율적으로 연결되고 운영되는 형태를 의미합니다. 서버~클라이언트가 아닌 P2P 형태의 네트워크 패턴을 가지고 있습니다. 탈중앙성은 블록체인 네트워크의 핵심 개념입니다. 탈중앙성이 강화되면 기존 중개역할을 하던 미들맨(은행, 부동산 중개인, 거래소 등 기존 서비스 제공자들)이 사라지고 산업 .. 2022. 6. 23. [Blockchain] 블록체인 트릴레마란? 블록체인은 분산원장 기술(DLT)를 이용한 거대한 데이터베이스이자 클라우드 컴퓨터입니다. 블록체인을 통해 제3의 미들맨 없이 거래가 가능하고, 미리 짜여진 스마트 컨트랙트로 합리적인 거래가 가능하게 되었습니다. 모든 데이터들이 연결되면서 보안성을 높이는 탈중앙화가 구현되기 시작합니다. 하지만 블록체인 이론을 현실로 옮기는 과정에서 다양한 난관에 부딪히게 됩니다. 블록체인에서 최소한 구현되어야 하는 항목은 확장성(Scalability), 탈중앙화(Decentralization), 보안(Security) 3가지 입니다. 현실에서 3가지 항목을 모두 갖춘다는 건 굉장히 힘든 일입니다. 비트코인이나 이더리움을 볼까요? 퍼블릭 블록체인이면서 탈중앙화를 시도한 대표적인 블록체인 입니다. 보안 측면에서는 우수한 성능.. 2022. 6. 23. [Blockchain] CeFi vs DeFi 차이점(DEX란?) De-Fi(Decentralized Finance)란 블록체인 기반 탈중앙화된 금융 시스템입니다. 기존 금융 시스템에서는 최종 대부자인 중앙은행이 존재하고, 특별한 권한을 획득한 시중은행들이 사람들의 돈을 예치하고 대출해주는 시스템을 가지고 있었습니다. 이를 중앙화된 금융 시스템이라고 해서 Ce-Fi(Centralized Finance)라고 합니다. Ce-Fi vs De-Fi Ce-Fi(Centralized Finance)란 전통적인 중앙집중적인 금융입니다. 은행을 통해서만 송금이 가능하고, 은행은 기업과 개인들의 이체 내역 및 신용정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로 인해 거대한 권력으로 자리 잡았습니다. 모든 거래 데이터가 은행으로 집중되기 때문입니다. 블록체인 기술이 나오고 암호화폐가 등장하면서 중앙집.. 2022. 6. 22. [Blockchain] 니모닉 코드 생성 과정 니모닉 단어 코드란 결정적 지갑에서 난수를 12개의 단어로 인코딩한 단어 그룹입니다. BIP-39에서 제안된 기술입니다. 기존에 사용하던 시드키는 숫자+문자로 구성된 난수로 기억하기가 힘들었습니다. 니모닉 코드 단어를 사용할 경우 사용자가 기억하고 있는 쉬운 형태로 구성할 수 있습니다. 시드키 8979644bfb6b6206792sk32k171b3a00daebfbdf3de3d81fa8c87a8012b04be060765762d4540ff10788959a84dec51667f34b0380e66be373d0ab2c62f8f94 니모닉 코드 convince patrol scene client jungle fitness blind grass apology calm pause endless 암호화폐 지갑에서 니모닉은 .. 2022. 6. 22. [Blockchain] Geth Wallet 설치/사용법(Ubuntu 20.04 LTS) 이더리움 블록체인에 접속해 자산을 관리할 수 있는 지갑 기능을 CLI을 통해 사용할 수 있습니다. Geth(Go Ethereum)는 이더리움 블록체인 client 소프트웨어입니다. Geth 설치(PPA 사용) 우분투에 Geth를 설치하기 위해서는 Personal Package Archives, PPA를 사용합니다. 먼저 PPA에 ethereum을 추가합니다. $ sudo add-apt-repository -y ppa:ethereum/ethereum Geth를 설치합니다. $ sudo apt-get update $ sudo apt-get install ethereum Geth 계정 만들기 새로운 계정을 생성합니다. $ geth account new INFO [06-22|11:53:55.566] Maximu.. 2022. 6. 22. [Blockchain] 마이이더월렛(MEW) 사용법 (암호화폐 지갑 만들기) 마이이더월렛은 이더리움 블록체인에서 암호화폐를 보관하고 송금할 수 있는 지갑입니다. 마이이더월렛으로 블록체인과 통신하고 이더(ETH) 및 ERC20 토큰들을 관리할 수 있습니다. 마이이더월렛은 사용자의 개인키를 점유하지 않아 안전하게 개인키를 관리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마이이더월렛은 오픈 소스 기반 지갑입니다. 보안에 신경을 많이 쓰고 있는 지갑입니다. 거래를 보호하기 위해 이중인증방식을 사용하고, 하드웨어 월렛 스타일의 보안 기능을 가지고 있습니다. 다른 지갑들에 비해 보안이 더 강화된 모델입니다. 마이이더월렛(MEW) 생성 마이이더월렛 웹페이지로 이동합니다. MyEtherWallet.com: Your Key to Ethereum Free, open-source, client-side E.. 2022. 6. 22. [Blockchain] 메타마스크 지갑 만드는 방법 블록체인에서 트랜잭션을 만들기 위해서는 지갑이 필요합니다. 암호화폐에 대한 정당한 소유권을 주장하기 위함입니다. 이더리움 블록체인을 지원하는 지갑은 메타마스크, 이더월렛, Geth Wallet 등이 있습니다. MetaMask는 이더리움을 소유하고 송금/관리 할 수 있는 암호화폐 지갑입니다. 공개키, 비밀키를 생성해주고 관리합니다. 비밀번호 관리는 니모닉 방식을 사용합니다. Chrome 확장 프로그램 설치 Chrome Web Store에 접속합니다. MetaMask를 검색하고 Chrome에 추가해주세요 확장 프로그램 설치가 완료되면 MetaMask 창으로 이동합니다. 시작하기를 클릭해주세요 기존 복구 문구가 있다면 지갑을 가져올 수 있고, 처음이라면 지갑 생성을 클릭해주세요. 익명성을 보장하므로 여러개의 .. 2022. 6. 22. [Blockchain] HD 월렛이란? (Hierarchical Deterministic Wallet) 암호화폐 지갑을 사용할 때 비밀키를 잊어버리면 복구할 방법이 없습니다. 만약 큰 금액의 자산을 관리하고 있다면 비밀키 관리 문제는 굉장히 중요한 이슈가 됩니다. 만약 사용처 별로 여러개의 지갑을 관리해야 한다면 어떨까요? 비밀키 관리가 쉽지 않습니다. HD 월렛(Hierarchical Deterministic Wallet)은 이런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등장했습니다. 임의로 생성된 Mnemonic을 가지고 마스터 키를 생성하고 이 후 마스터 키 하나로 모든 비밀 키를 자동으로 생성해줍니다. 지갑은 트리 구조로 되어 있고 결정적이므로 사용자는 마스터 키 하나로 여러개의 지갑을 손쉽게 관리할 수 있습니다. 비결정적 월렛 비결정적 월렛은 사용할 때 마다 비밀키를 무작위로 생성하는 방식입니다. 새로운 트랜잭션을 생.. 2022. 6. 21. [Blockchain] 스마트 컨트랙트 월렛(Contract Account)? 이더리움 블록체인에서 일반적으로는 EOA(External Owned Account)를 통해 자산을 관리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EOA는 제한된 기능을 가지고 있습니다. 대표적으로 스마트 컨트랙트 코드를 담을 수 없습니다. 스마트 컨트랙트를 사용하는 월렛을 스마트 컨트랙트 월렛(Contract Account)이라고 합니다. 이더리움에서는 주소와 개인키의 조합을 어카운트(Account)로 관리합니다 :) CA는 스마트 컨트랙트를 이용하는 지갑입니다. 따라서 CA를 사용하는 경우 코드를 담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누가 특정 조건에서 자산에 접근할 수 있도록 프로그래밍화 할 수 있게 됩니다. CA에서는 개인키가 아닌 스마트 컨트랙트로 관리 되므로 EOA 기반 월렛에 비해 높은 보안성과 편의성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2022. 6. 21. [Blockchain] 핫 월렛 콜드 월렛 차이 (암호화폐 지갑이란?) 블록체인에서는 지갑을 사용해서 다른 노드와 거래를 할 수 있습니다. 블록체인 뿐만 아니라 현실 세계에서도 돈을 다른 사람에게 보내기 위해서는 계좌번호와 공인인증서, 비밀번호가 필요합니다. 동일한 개념이 블록체인에도 동일하게 공개키와 개인키를 관리하게 됩니다. 개인키는 디지털 서명에 사용되기 때문에 비밀리에 보관하고, 공개키는 public 하게 관리합니다. 따라서 공개키를 지갑의 주소로 사용합니다. 암호화폐 지갑이란? 블록체인에서도 다른 노드들과 거래하기 위해서는 개인키와 공개키를 발급받아야 합니다. 블록체인에서 사용되는 암호화폐 지갑은 화폐 자체를 가지고 있지 않고, 공개키와 개인키를 관리하는 키 관리 시스템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만약 제가 100 ETH를 가지고 있다면 100ETH가 내 소유라는 것을.. 2022. 6. 21. [Security] 해시 함수 알고리즘 특징 해시(Hash)라는 단어를 들으면 제일 먼저 어떤게 생각나나요? 저는 맥도날드에서 판매하는 해시브라운이 제일 먼저 생각납니다. 해시라는 단어의 기본적인 뜻이 다지다, 으개다 라는 뜻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죠. 감자를 익혀 잘게 다져 만든 해시 브라운 처럼 해시 함수는 단방향 성질을 가지고 암호학에 사용됩니다. 해시 함수는 한번 진행되면 이전 값으로 돌아가기 매우 힘든 성질을 가지고 있습니다. 즉, 대표적인 단방향 암호화 알고리즘입니다. 또한 다양한 길이의 데이터를 고정된 길이의 출력값으로 변환하게 됩니다. 이 두가지 성질이 해시 함수를 잘 설명하고 있습니다. 현재, 해시 함수로 가장 많이 사용되는 알고리즘은 SHA(Secure Hash Algorithm)-256입니다. SHA-256은 어떤 입력값에 대해서.. 2022. 6. 20. [Security] 디지털 서명(Digital Signature)이란? 검증 확인 원리 공개 키 방식(PKC, Public Key Cryptographym)은 전형적인 비대칭키 암호 방식을 사용합니다. 공개키와 개인키로 구성된 두개의 키로 암호화/복호화를 진행합니다. 공개키와 개인키는 ECDSA라는 타원 곡선 알고리즘을 사용해 생성됩니다. 공개키는 외부에 공개해도 되지만 개인키는 비밀리에 보관해야 합니다. 발신자는 공개키를 사용해서 데이터를 암호화 합니다. 수신자는 개인키로 암호화된 데이터를 전달 받은 후 복호화를 진행합니다. 공개 키 방식(PKC) 방식을 사용하면 승인된 사용자에게만 데이터를 안전하게 전달할 수 있습니다. 대표적으로 HTTPS 프로토콜을 구현하기 위한 TLS에서 사용됩니다. 개인키 암호화 방식은 개인키로 데이터를 암호화한 뒤 수신자는 공개키를 사용해 복호화를 진행합니다. .. 2022. 6. 20. [Security] 대칭키 비대칭키 암호화 방식 비교 블록체인에서 보안을 위해서 암호학을 사용합니다. 정보 보안에서는 합리적인 정보 사용을 위해 기밀성, 무결성, 가용성, 부인봉쇄의 4가지 요소를 가지고 있어야 합니다. 또한 상황에 맞는 암호방식을 사용하게 되는데, 크게 대칭키 방식와 비대칭키 암호방식으로 구분됩니다. 기밀성(Confidentiality) : 타인은 볼 수 없음 무결성(Integrity) : 정보가 변하지 않음 가용성(Availability) : 정당한 사용자가 정보 접근 가능 부인방지(Non-Repudiation) : 본인 확인 절차 필요 대칭키 대칭키 암호방식은 암호화 할 때 사용하는 키(Key)와 복호화할 때 키(Key)가 동일한 방식입니다. 대칭키 방식에서는 여러 사용자에게 공유된 1개의 키를 사용합니다. 1개의 키로 정보를 암호화하.. 2022. 6. 20. [Security] 암호학(Cryptography), 정보 보안 3요소 블록체인에서 암호학은 굉장히 중요한 위치를 가지고 있습니다. 블록을 체인에 연결하고, 송금, 서명 등 전방위적으로 암호학의 아이디어를 차용하고 있습니다. 암호학이란 보다 안전한 암호화 과정과 복호화 과정의 합입니다. 영어로 Cryptography라고 합니다. 사람들이 일반적으로 이해할 수 있는 평문을 다른 사람이 이해하기 힘든 암호문으로 변경해서 전송하고, 다시 평문으로 전환하는 작업입니다. 암호학은 이렇게 발전했다 현대에서 암호학은 정보통신 기술에서 중요한 지위를 가지고 있습니다. 우리가 하루에도 특정 웹 사이트에 접속해서 본인임을 인증하고, 쇼핑을 하거나, 친구들에게 메시지를 전송하고 있습니다. 만약 정보가 암호화되지 않는다면 누구나 개인정보를 탈취하고 은행에서 예금을 갈취해갈 것입니다. 암호학은 현.. 2022. 6. 20. 이전 1 ··· 3 4 5 6 7 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