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avascript Graph2 [Algorithm] Javascript Graph 자료구조 인접 리스트(Adjacency List) 구현하기 Graph 인접 리스트란? 인접 리스트(Adjacency List)는 각 정점이 어떤 정점과 인접하고 있는지를 리스트 형태로 표현한다. 각 정점은 하나의 리스트를 가지게 되며 인접한 다른 정점을 리스트에 담고 있다. 서울 - 부산 - 제주, 3개의 정점이 있다고 가정하자. 서울은 부산으로의 간선을 가지고, 부산은 제주로의 간선을 가지며, 제주는 서울로의 간선을 가지게 된다. 위 그래프를 인접 리스트로 구현하면 다음과 같다. 그래프 자료구조에서 인접 리스트는 객체로 구현된다. 각 정점은 Key값이 되고 정점과 연결된 간선들의 정보는 배열로 Value 값이 된다. 굳이 인접행렬을 사용하는 이유? 그래프 자료구조에서 정점과 간선의 정보를 담기 위해서 일반적으로 인접행렬을 사용한다. 하지만 인접행렬의 가장 큰 .. 2022. 5. 24. [Algorithm] Javascript Graph Data Structure 그래프 자료구조 알고리즘 Javascript Graph Data Structure Graph 자료구조는 여러 점들이 복잡하게 연결되어 있는 관계를 표현한 자료구조다. Graph 자료구조는 정점(Vertex)와 간선(Edge)로 구성된다. 두 정점이 직접적인 관계가 있다면 선으로 연결되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다면 여러개의 선을 거쳐 연결된다. Graph 자료구조는 크게 무방향 그래프와 방향 그래프로 구분된다. 한 정점에서 다른 정점으로의 방향이 정해진 경우 반대 방향으로 흐름이 흘러갈 수 없다. 방향 그래프 또한 양방향 간선과 단방향 간선으로 구분된다. Graph 자료구조 인접행렬 두 정점(Vertex)을 연결하는 간선이 있다는 말은 두 정점이 인접해있다는 것이다. 정점간의 관계를 코드로 표현하기 위해서는 인접행렬을 사용한다. .. 2022. 5. 16. 이전 1 다음